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고전문학 감상문]춘향전
    자기계발 생활/서평 2009. 4. 23. 02:32
    반응형
    춘향전은 어릴 적 부터 가장 가깝게 접해오던 고전 중의 하나이었는데 원문을 모두 다 읽은 것은 처음이었다. 춘향전의 전체적인 줄거리를 이미 알고 있었기 때문에 읽기 전에는 쉽게 훑어 보는 식으로 봐도 되겠구나 라고 생각했었는데,  춘향전에 쓰인 언어유희와 묘사들이 생경하면서도 기발하고 재치있어 보는 동안 아는 내용이었으면서도 굉장히 재미있었다. 그리고 생각보다 글의 흐름이 무척 빨랐고, 그러면서도 부분부분 정확히 묘사가 된 것이 쉽게 봐서는 안 될 이야기로구나 하는 것을 깨달았다.

    춘향전 중에서 가장 나의 마음을 빼앗긴 것은 이도령이 평양으로 가야한다는 사실을 춘향이에게 전하는 부분이었다. 춘향에게 슬픈 소식을 알려야 하는 이도령의 답답한 마음과 사실을 알지 못해 안절부절 못하는 춘향의 기분이 그 둘의 대사 하나 담뱃대의 묘사 하나에 애절하면서도 팽팽한 긴장감이 담겨 있었다. 춘향을 사랑하는 이도령의 안타까움이 잘 나타나 있는 부분이었고, 특히 춘향전에서 춘향에 대한 이도령의 사랑의 깊이를 가장 여실히 나타내었다고 생각한다. 이 부분을 읽을 적에 나는 춘향이의 심정으로, 한편으로는 이도령의 심정으로서 생각해보고 나의 모습과 비춰보건대 과거와 현재의 사람의 마음이란 것이 이렇듯 다르지 않구나 하는 것을 깨달았다. 아무리 거자 필반(去者必反)이라 하여 떠난 사람이 다시 되돌아 올 것이라는 희망이 있다고 해도 그렇다고 떠나는 그 순간이 슬프지 않은 것은 아니지 않은가. 감정이입이 정말 잘 된 작품이었다.

    가장 마음에 들지 않았던 곳은 결말 부분이었다. 춘향전을 읽으면서 고통받는 춘향이의 아픔에 보상할 만한 화려한 결말이 아니라고 생각한다. 나는 마지막 부분에 그동안 고문받던 춘향이의 용모가 다시 수려해지고 아름답게 단장을 하여 즐거워 할 부분이 나올 것이라 기대했었는데, 그 동안의 긴장감과는 다르게 너무 쉽고 간결하게 끝나버린 것이 아쉬웠다. 만약 내가 춘향전을 전수하게 되었었다면 분명 이 부분에 춘향이에게 그 동안의 고생에 보답하기 위해 화려하고 아름다운 모습의 묘사를 해 주었을 것이다. 또한 춘향이와 다시 함께 살게 되어 행복한 이도령의 모습의 묘사도 함께 말이다. 그게 완전한 행복한 결말 아닌가.

    나는 개인적으로 이도령은 좋은 사람이 아니라고 생각한다. 춘향전에서 이도령은 어사출두하기 전날에 옥에 갇힌 춘향이를 보러 갔기 때문에 춘향이가 얼마나 위급하고 힘든 상황인지를 잘 알고 있다. 만약 이도령이 춘향을 아끼고 사랑한다면 어사또가 출두했을 때 조금이라도 빨리 춘향이를 편하게 보살피고 어디 아픈데가 없는지를 살펴야 했지 않을까. 한데 이도령은 아픈 춘향이를 앉혀놓고 과연 그녀가 수절을 잘 지킬지를 마지막까지 시험했다. 물론 이도령에게는 굳은 믿음이 있었겠지만, 나는 이런 이도령에게 정이 가지 않는다. 설령 춘향이가 훼절하겠다고 말했다한들 병중에 심약해진 신체로서 정신력이 떨어진 상태에서 능히 할 수 있었다고 믿어져야 하는 것 아닌가. 물론 춘향이의 곧은 심기를 극적으로 표현하려 든 것이었겠지만, 그렇다면 그것도 문제가 있다고 생각한다.
    과연 춘향전 어디에 이도령 역시 춘향이만 생각했다는 말 한마디 있는지. 이도령 역시 정절을 지켰다는 구절하나 있는지 말이다. 춘향이의 정절을 시험하기 위해서는 최소한 이도령 역시 일편단심이라는 배경이 있어야 정당하지 않은가. 춘향이의 여러 다른 판본 중에는 이도령이 평양에 가서 다른 여자를 만나 춘향이를 배신하여 춘향이는 결국 죽는다는 내용도 있다는 말을 들은 적이 있다. 나는 춘향이의 결말 부분이 춘향전을 '아름다운 사랑이야기'라기 보단 '일편단심 춘향이의 고결한 마음'으로 완전히 주제를 바꾸어 버린다고 생각한다.

    과연 아픈 자신을 끝내 시험하려 들었던 이도령을 춘향이는 아무렇지도 않게 받아들이고 그 둘은 행복해질 수 있었을까. 혹은 만약 춘향이 마지막에 훼절하겠다고 말한다면 이도령은 춘향이를 버릴 것이었을까. 궁금하면서도 씁쓸하다.

    춘향전을 읽으면서 느낀 것은 우리나라 산천에 대한 수려한 표현들이 많이 나온다는 것이다. 북한산성 구경하고, 과천에 관악사요. 수원 용주사 놀아보고, 하는 식의 표현들이 글을 더욱 맵시있게 나타냈다. 한데 그러면서도 심덕하신 탕임금 주실흥북 강태공과 같은 중국의 옛 왕들의 이름이 나온다. 물론 왕 이름 외에도 중국에 관한 것들의 표현이 많지만, 처음 읽을 때는 어째서 중국의 왕이었을까하고 생각했었다. 그러나 곧 왜인지 조선의 임금들이 이런 식으로 줄줄 나온다면 조금은 어색한 느낌이 들거라고 느꼈다. 고전산문을 많이 접해보지는 않았지만 그 동안 조금씩 짧게나마 접한 고전들에서는 조선 임금들에 대해 잘 나타난 작품이 없었던 것 같다. 분명 조선에도 내노라할 임금들이 많고 사람들에게 더 친숙함을 줄 수 있었을 텐데 중국의 왕의 이름을 댄 것은 맹자 논어 즐겨 읽는 사대부의 반영인지 혹은 조선의 왕을 빗댓을 때 행여 누가 될까 걱정되어 일부러 피한 것인지 궁금하다.

    또한 춘향전에서 향단이와 변사또에 대한 인물묘사가 조금만 더 잘 나타냈으면 좋았을 것이란 아쉬움이 든다.  이 판본에서는 향단이는 마치 종이 인형과 같이 아무런 개성이 없었다. 그냥 보통의 일개 하인과 똑같이 나왔다는게 의외였다. 하물며 춘향이와 이도령 다음으로 중요한 등장인물이 변사또인데 변사또의 외형을 알 수 있는 것은 변사또가 이가 빠졌고 나이가 많다는 정도를 알 수 있을 뿐 어떤 생김새를 지녔는 지는 나와있지가 않다. 조금 더 변사또의 묘사를 생생하게 했으면 더 좋았을텐데 아깝다.

    춘향전은 전체적으로 상황묘사와 언어유희가 뛰어나고 그러면서도 필요없는 부분은 과감히 뛰어 넘으면서도 필요한 부분은 세세히 밝혀 읽으면서 지루한 틈을 주지 않았다. 춘향의 이도령에 대한 일편단심의 마음을 변사또의 눈으로 혹은 변사또의 명령으로 춘향을 잡으러 가는 군노사령의 눈으로 봤을 때는 그러한 수절을 비판하기도 하게 함으로써 춘향이의 지조를 찬양일색으로 몰지 않는다는 점도 마음에 들었다. 한편으로는 시대 모습 반영과 함께 아름답고 절개있는 여성을 훌륭하게 생각했다는 당대의 가치관도 잘 녹아 있어 문학적 뿐만 아니라 역사 고증적으로도 아주 중요한 가치를 가지는 작품이라고 생각한다.


    반응형
Designed by Tistory.